If the whole universe has no meaning, we should never have found out that it has no meaning: just as, if there were no light in the universe and therefore no creastures with eyes, we should never know it was dark. Dark would be a word without meaning.
Christian is not a man who never goes wrong, but a man who is enabled to repent and pick himself up and begin over again after each stumble - because the Chirst-life is inside him, repairing him all the time, enabling him to repeat (in some degree) the kind of voluntary death which Christ Himself carried out.
예전에 선물받은 책을 다시 읽고 있다. 열씨미 줄도쳐져 있고 낙서도 되어 있는 것이 분명 열심히 읽었나 본데,
지금은 겨우 겨우 아니 거의 이해를 못하거나 저자에게 '좀더 쉽게 써주지 또는 좀 억지스러운것 같은데 하면서,,' 불만을 표하면서 읽고 있다. 과연 이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을까?
Mere christianity 책에서 삶은 우발적으로 그냥 막 생겨난게 아니라 의미가/뜻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삶이 무의미한거라면, 우리는 삶이 무의미하다 또는 의미있다고 판단 자체를 하지 못 했을것이다. 예를 들어 세상에 빛이 없고 눈이 없는 생물체들만 산다면, 걔네들은 눈이, 빛이 없기 때문에 어두운지를 모를것이다. "어둠"이란 말 자체가 걔네들한테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란 얘기를 한다. 우리는 교육이전에 잠재적으로 의미있다/무의미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삶이 무의미 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지 오웰의 1984년이란 책에서도 Big brother시대에 사람들을 통제하기 위해 "자유"란 단어 자체를 없애버린 것이 기억난다. 자유란 단어 자체가 없으면 사람들은 '자유'란 단어를 들었을 때 자연스럽게 연상되는 이미지/사상도 생각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자신의 감시받고 구속된 상태에 대해 원래 그런가 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Clever !!
삶이 의미가 있다면 내 삶이 무엇인가 큰 뜻이 있다며 그렇다면 이것이 하나님/예수님과 어떻게 연결이 될 것인가?
God was 'the sort of person who is always snooping around to see if anyone is enjoying himself and then trying to stop it'. The word Morality raises in a good many people's minds: something that interferes, something that stops you having a good time. There are all sorts of things that look all right and seem to you the natural way of treating the machine, bu do not really work.
He quite understands that he must not damage the other ships in the convoy, but he honestly thinks that what he does to his own ship is simply his own business. Does it not make a great difference whether I am, so to speak, the landlord of my own mind and body, or only a tenant, responsible to the real landlord?
많은 사람들에게 도덕이란 즐거운 시간을 방해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재밌게도 누군가 하나님에 대해 표현하기를 "하나님은 내주위에서 서성거리다가 나 자신을 즐기는 꼴을 못보는 분"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저자는 크리스챤의 세가지 도덕적 행동에 대해 말을 하는데 첫째는 사람들간 관계에 있어서의 공정성, 두번째는 각자 자신의 도덕성, 세번째는 삶의 목적/가치에 있어서의 도덕적 행동이다. 첫번째의 경우는 대개의 사람들이 하지만 두번째 세번째로 갈수록 실질적인 중요성 및 적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뭐, 내가 무슨짓을 하든 다른 사람한테만 피해 안주면 되는거 아냐?'라고도 생각할 수 있지만, 과연 내부적인 도덕성의 지속적인 쌓음 없이 얼마나, 오래도록 갈 수 있겠느냐 말이다. 마치 오래된 엔진을 가진 배가 다른 배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겠느냔 말이다. 당장은 보이지 않더라도 하루가 되고 한달이 되고 10년이 되면 그것이 나자신을 표현하는 인격이 되지 않겠느냔 말이다.
크리스챤 가치관에서 삶이란 실질적인 주인은 하나님이며 나의 현재 몸과 마음을 빌려서 살고 있다는 것과 단지 인생 70년 죽으면 끝이라는 생각으로 살아가는 것과 죽음이후에 영원한 삶이 있으며 또한 영원한 지옥이 있음을 알고 살아갈 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Thou shalt love thy neighbour as thyself'. 'thy neighbour' includes 'thy enemy' and so we come up against this terrible duty of forgiving our enemies. If we really want to learn how to forgive, perhaps we had better start with something easier than the Gestapo.
I must hate a bad man's actions, but not hate the bad man. To wish that he were not bad, to hope that he may, in this world or another, be cured: in fact, to wish his good. That is what is meant in the Bible by loving him: wishing his good, not feeling fond of him nor saying he is nice when he is not.
유대인들이 자신들을 학대한 적을 용서할 수 있을까? 용서는 작은것부터 실천하라고 한다. '나 이외의 우상을 숭배하지 말라'하는 말씀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었던 사람이, 자신의 두 아들을 죽인 자도 말씀에 의하면 용서를 해야된다는 얘기지 않겠는가.
네 적을 사랑하라는 말씀을 들을 때 극단적인 경우를 먼저 생각하게 되면서 나는 할 수 없어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된다. 그러나 내가 살아가면서, 그러한 극단적인 케이스에 처할 일이 얼마나 되겠는가.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얘길 하면서 저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지 말고 '자신'에 대해 생각해 보라 한다. 내 자신의 비겁함, 탐욕 등을 발견할 때 나는 그러한 나 자신이 싫지만 그것은 내가 나 자신을 사랑하기 때문에 그러한 부분이 싫다는 것이다. 나의 원수를 사랑한다는 것은 그를 좋아하다는 체한다거나, 그가 좋은 사람이라고 말한다거나 그런것이 아니라, 그가 옳은길로 가기를 그의 안녕을 바라는 것이라 한다.
If I am a proud man, as long as there is one man in the whole world more powerful, or richer, or cleverer than I, he is my rival and my enemy. Pride gets no pleasure out of having something, only out of having more of it than the next man. Other vices may sometimes bring people together: you may find good fellowship and jokes and friendliness among drunken people or unchaste people. But pride always means enmity-it is enmity.
Whenever we find that our religious life is making us feel that we are good-above all, that we are better than someone else-I think we may be sure that we are being acted on not by God, but by the devil.
The trouble begins when you pass from thinking, 'I have pleased him; all is well,' to thinking, 'What a fine person I must be to have done it.'
Pride를 real 악이라고 한다. 다른 악, 예를 들어 부도덕한 사람들이나 술주정뱅이들의 경우는 그들 나름대로의 악한 행위를 함으로써 친구를 만들수 있다. 하지만 Pride는 뭔가를 내가 가져서 쾌락을 갖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가졌을 때 쾌락을 주기 때문에 'Pride'자체가 항상 '적의'를 의미한다. 다른 사람이 나보다 더 많이 가졌을 경우 그는 나의 라이벌이며 적인 것이다.
나는 순위를 매기고 경쟁하는 사회에서 살아왔다. 외모, 성적, 부, 모든 것에 순위를 매겨놓았다. 여기에서 내 위치가 어느정도인지 다른사람과 비교를 안할래야 안할수 없다. 다른사람보다 지적으로 더 높다고 해서 기뻐하지 아니하며, 낮다고 해서 열등감이 없을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이 악하면 가만히 있는 나는 상대적으로 더 착하게 보일 것이며, 따라서 그 사람의 악함을 방치하는 경우도 있지 않았는가?
God is the thing to which he is praying-the goal he is trying to reach. God is also the thing inside him which is pushing him on-the motive power. God is also the road or bridge along which he is being pushed to that goal. He is being pulled into God, by God, while still remaining himself.
신(하나님)은 인간이 기도하는 대상/목적이다. 사람안에 신이 존재(성령)하는데 이러한 신이 또한 인간이 기도하게끔하는 동기를 유발한다. 또한, 신(예수님)이 목적에 이르도록 가교(다리)역할을 해준다.
<
When you are not feeling particularly friendly but know you ought to be, the best thing you can do, very often, is to put on a friendly manner and behave as if you were a nicer person than you actually are. And in a few minutes, as we have all noticed, you will be really feeling friendlier than you were.
There are lots of things which your concience might not call definitely wrong(specially things in your mind) but which you will see at once you cannot go on doing if you are seriously trying to be like Christ.
살다보면 실지로 이것이 나쁜 짓인지 아닌건지 헤깔릴때가 있다. 그러나 내가 진실한 크리스챤이되려고 노력한다면, 그것이 명백히 나쁜짓이기 때문에 그러한 고민할 필요 없이 그것을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마음속에서 어떠한 것이 나쁜것인지 아닌지 고민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우리는 그것이 나쁜것임을 알지만 우리 욕심에 의해 하고 싶기 때문에 고민을 하는 것이다.
You are quite likely to believe that all this niceness is your own doing: and you may easily not feel the need for any better kind of goodness. Often people who have all these natural kinds of goodness cannot be brought to recognise their need for Christ at all until, one day, the natural goodness lets them down and their self-satisfaction is shattered. In other words, it is hard for those who are 'rich' in this sense to enter the Kingdon.
당신이 크리스챤이 아닌 단지 착한사람이라면, 당신은 더 착한일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것이다. 종종 착한사람들이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기 어려운 이유다. 즉, 이미 풍족한 사람은 천국에 들어가기 어려운 것이다.
출장이나 여행시만 가지고 다니며 읽던 책이라 다 읽는데 오랜기간이 걸렸다. 게다가 The purpose driven life의 경우는 쉽게 쉽게 쓰여있는데 이책은 왜이리 어려운지. 하지만, 다 이해치 못하고 읽었는데도 불구하고 걸리는 문구들이 생각을 많이 하게끔 해준다.....
2009년 5월 15일 금요일
Mere Christianity - C.S. Lewis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