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1월 17일 월요일

반클러치 - 수동



ㅇ 동력전달 순서 : 엔진 -> 플라이 휠(원판) -> 클러치 디스크(원판) -> 변속기(트랜스 미션)
- 이 두 원판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역할이 클러치 페달임
- 두 원판이 서로 만날때 계속 돌고 있는 플라이 휠에 멈춰있는 클러치 디스크를 붙여야함.
- 따라서, 1단 출발시에는 회전하고 있는 플라이휠에 멈춰있는 클러치 디스크를 붙여야 하기 때문에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가 생김. 두 원판이 붙을락 말락 하는 순간이 반 클러치 상태이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가 일어남.
- 수동변속기 차량은 변속을 위해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하는(1단/2단/3단/4단/5단/후진) 과정에서 반클러치 상태가 일순간 일어남, 이러한 동작이 수만번 일어나면 클러치 디스크는 마모가 되어 교환하여야함.
- 클러치를 사용할수록 유격이 줄어들어, 끝까지 밟아야 기어가 바뀌는 현상이 일어남.

ㅇ 반클러치 상태에서 엑셀을 밟으면,
- 100% 동력전달이 안된상태에서 디스크가 부딪혀서 회전하기 떄문에 마모가 됨.
- 엔진의 동력을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아닌 상태로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와 그에 연결된 삼발이(다이어프림) 등등에 무리를 줄 수 있음

ㅇ 운전습관
- 변속할때 엑셀을 강하게 밟지 않기
- 오르막에서 출발할때 반클러치 잡고 과도할 정도로 강하게 엑셀 밟아주는 것 금지!!
- 출발시 엑셀을 살짝 밟으면서(1500-2000 rpm) 클러치를 반정도 떼어주고 차가 움직이면 완전히 떼주기
- 엑셀을 밟아주면, 클러치 원판이 돌아가면서, 돌아가고 있는 플라이 휠에 맞춰 지면서 -> 클러치를 떼어내면 -> 두 원판이 완전히 맞물려서 차가 굴러감.
- 기어 넣고 반클러치 상태 -> 브레이크에서 발을 때면 천천히 차가 나감(엑셀패달 밟지마시고) 차가 서서히 움직이면 클러치 패달에서 발을 완전히 때시고 그 다음 엑셀 패달 밟기 = 엑셀을 서서비 밟아주면서 클러치를 서서히 풀어주기, 즉, 반클러치 상태에서 자주 출발하면 마모
-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동시에 밟는것은 좋지 않은 습관! 브레이크를 밟아서 속도를 줄인후 클러치 밟으면서 중립으로 이동
- 원클러치하기 : 클러치를 끝까지 밟고 -> 기어 변속 -> 클러치를 완전히 놓은 다음 -> 엑셀 밟기

*엔진브레이크
- 기어 변속으로 속도를 천천히 줄이는 것
- 4단-> 3단->2단으로 변속해서 속도를 줄이는 것
- 5단에서 4단으로 기어를 내리면 rpm은 올라가면서 속도는 떨어지게 됨.
-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의 저항값을 이용해 속력을 줄이는 행위

** 클러치를 밟으면 엔진과 미션이 떨어져서 동력전달이 차단된 상태, 클러치를 떼어내면 엔진과 미션이 이어져서 엔진에서 미션으로 미션에서 차 구동축으로 힘이 전달되어 차가 굴러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