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1월 6일 목요일

금 관련 펀드 등


1. 금적립식 은행 상품 : 신한골드뱅킹,기업은행,kb은행 등 에서 판매, 모든 금 상품에 과세

2. 펀드 :블랙록월드골드증권주식, 신한bnpp골드xxxx

- 금을 캐는 금광업체에 투자하는 펀드로 금 가격이랑 거의 같이 움직이거나 조금 낮은 수익

3. 금 ETF 즉 특정지수인 금 가격을 추종하는 상품으로 가장 잘 반영할 수있는 상품

- 금현물에만 투자하는 투자신탁, 투자은행이 금을 한꺼번에 사들여 은행에 맡기고, 은행은 금에 신탁권을 설정해 수익 증권을 발행=금 ETF

- 증시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거래된다는 점에서 펀드와 다르나, 펀드와 같이 순수하게 금가격 추종함.

- 국내에는 현대(현대 HIT골드특별자산상장지수, 재간접), 삼성증권에서 발행한 상품(삼성KODEX골드선물자산상장지수- 금 파생/환헷지), 미래에셋맵스인덱스로골드특별자산자[금-재간접형]A


* 수수료

1. 금현물 : 거래비용 1%, 부가세 10%, 보관부담

2. 골드뱅킹 : 거래비용 2%, 매매거래 불편, 현금인출시 부가세 10%

3. 금펀드 : 거래비용 2%, 조기환매 수수료

4. 금ETF : 거래비용 0.6%, 실시간 매매

5. 금선물 : 거래비용 0.01%, 고위험/고이익


** 삼성KODEX골드선물자산상장지수

앞서 상장한 골드 ETF는 재간접형인 반면, KODEX 골드선물(H)는 TIGER WTI선물과 함께 선물을 직접 편입하는 상품인 것. 이 상품은 ‘S&P GSCI Gold Index’를 기초로 운용되며, ‘S&P GSCI Gold Index’는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금 선물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대표지수임.단, 골드현물이 아닌 선물가격에 연동하는 ETF,

환헤지 : 이는 무조건 단점이라고는 할 수 없고 지금처럼 환율하락기에는 장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금이 상승하는 시기는 세계경제가 불안한 때이고 이때는 환율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2008년 같은 경우가 다시 발생할 경우 환율의 상승에 따라 금값이 상승하여도 오히려 손실이 날 위험이 있음.

- 국내 EFT는 현물을 직접가진 것이 아니라 재간접은 해외 금 ETF를 자산으로 하고 있어 해외 운용보수 0.4%, 국내 운용보수 0.6% 기타 도합 비용 1%가 넘음.


** 그 밖의 "금" 과 관련된 의견 : 화폐전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