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3월 18일 금요일

British Product revolution of the 18th century - Maxine Berg

I. Summary
1. 산업혁명은 증기엔진 등 공정혁신에 주로 초점을 두며, 제품 혁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하다. 제품의 질적 품질 향상, 새로운 제품의 생산 등도 공정혁신만큼 중요하다.
2. 18세기에 영국제품은 다양성, 낮은 가격, 디자인으로 유럽시장 뿐 아니라 미국 등지의 식민지에 제품 수요를 창출하면서 영국 제품의 브랜드화를 만들었다.
3. 생산보다는 소비쪽에 더 포커스를 두었다.


II. 세부 내용
1. New products of the 18th century
ㅇ 18세기 산업혁명은 공정혁신 뿐 아니라 다양한 제품 혁신도 일으킴
  • Joseph Priestley는 1792년 폭동으로 인해 손실된 재산 목록을 기록하였는데 여기에는 영국식 카페트, 촛대, 마호가니 차 테이블 등 당시 영국에서 새롭게 생산된 영국식 스타일의 다양한 물품 목록을 볼 수 있음.
ㅇ 18세기 영국제품의 사용은 패션 리더(fashion leader)라는 인식을 소비자에게 심어주었음
  • 값이 저렴할 뿐 만 아니라, 디자인, 실용성 등을 포괄한 근대의 사치품
  • 프랑스제 신발보다 우위에 선 영국제 버클 등

2. Industrialization and product leadership
ㅇ ‘영국 산업혁명은 기술자체에 의한 것이고 제품이나 디자인에 관한 것이 아니다‘라는 인식
  • 당시 경제학자들은 철로 만들어진 제품 자체가 아닌 선철(pig iron)의 생산량에 포커스를 둠
  • 산업화 이론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가 원인 : 영국=기계공정 혁신, 표준화된 소비재 생산 vs. 프랑스=다양한 제품, 스타일리시한 제품(Alfred Marshall)

ㅇ Sidney Pollard 는 유럽의 상대적인 산업 발달(산업화)에 대해 지역 상보성이론을 제시
  • 영국은 당시 기술 발달로 인해 방적이나 철과 같은 1차 상품 생산에 주력할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덜 발달된 경제를 가진 유럽의 다른 나라들은 그들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여 영국의 1차 상품을 수입하여 2차 상품 생산에 주력화

ㅇ 영국 제품의 글로벌 브랜드화를 통한 영국 제품의 정체성 확립
  • 핵심 제품은 면직물, 유리제품류, 도기류, 금속 제품 등
  • 정부의 중상주의 정책이 영국 제품의 글로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볼튼과 와트의 증기기관이 산업혁명의 key 아이콘이나 18세기 당시에는 은장식된 커피 포트나 황동 상품과 같은 제품 혁신이 세계에서 영국의 정체성을 부여한 혁명
  • 아시아의 사치품과 경쟁키 위해 디자인이나 영국스러운 멋을 가미하려고 노력, 아시아에서는 값싼 노동력을 가지고 대량생산을 했다면 영국에서는 기계화를 통한 대량생산을 하고 또한 제품에도 웨지우드의 ‘난징 도자기’같은 아시아스러운 이름을 붙임. 웨지우드는 도자기 산업에서 공정형 혁신을 이뤄낸데서 유명함
  • 영국 제품의 성공의 원인은 제품 자체가 저렴한 가격, 디자인, 좋은 품질로 인한 것으로 기저에는 이러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기술 및 기계 혁명이 또한 원인임.
  • 영국은 식민지에 제품들에 대한 원료 재배를 장려하면서 이를 통해 싼 값으로 원료를 수입하고(코튼 등) 또한 영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품들을 식민지에 재수출 할 수 있었음.
  • 영국 제품은 쉽게 이동이 가능함(이동하기 쉬운 그래서 무역에 쉬운). 즉, 프랑스에 의해 주도된 드레스 패션은 최소한 남성복에서는 간편하여 이동하기 쉬운 심플한 영국식 수트에 자리를 내주게 됨.

3. Selling British to America
ㅇ 1968에서 1780년대를 거치면서 영국 제품의 해외 수출은 8%에서 16%로 두배 확대
  • 1770년까지는 수출 제품의 절반의 수요가 식민지(철제품, 창문, 실크 제품 등)였고, 하드웨어의 경우 북아메리카가 영국 제품 수출의 60% 정도를 차지
ㅇ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 사이에 영국산 도기류의 주요 수출시장은 유럽에서 미국
  • 1790년까지 테이블이나, 차, 화장실 용품 등 도기 제품의 대부분이 미국에서 수요
ㅇ 영국산 평직물, 황동제품, 철제품, 도기제품의 다양성이 동방의 사치품을 대신하게 됨.


4. Not selling British to Asia
ㅇ 영국은 터키, 인도,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을 개척하려했으나 실패
  • 향수 병을 팔려고 했으나, 소수의 토착민들만이 관심, 대신 인도에서 증가하는 유럽인들을 대상으로 방향을 전환
  • 조지 3세의 대리인으로 Macartney가 중국에 영국산 하이테크 물품 교역을 하려고 하였으나, 중국의 Qianlong 황제는 영국산 제품에 흥미가 없다고 하면서, 결국 아시아와의 교역은 실패

III. Conclusion
  • 새로운 소비자를 창출하고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함께 이루어졌는데 이를 통해 제품 혁명과 공정 혁명을 통합하였다. 이러한 산업혁명을 통해 19세기 초 영국제품의 글로벌화를 이루고 또한 영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 영국이 아시아 시장진출은 실패했지만, 미국 대륙에 대한 꾸준한 소비 창출을 통해 이 지역에 대한 아시아 사치품에 대한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는 있었다.
  • 영국의 중산층들이 귀족을 이미테이션하기 위한 정도의 사치품을 기계를 이용하여 필요정도를 생산 할 수 있었고 기술 발달을 통해 가격을 다운시켜서 제공할 수 있었다.
  • 연철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혁신이 일어나면서 이를 통해 연철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었다.

IV. Discussion
1. 영국 제품, 정말 질 좋고 패션너블한 제품인가?
영국 제품이 산업 혁명을 통해 대량생산을 하면서 저렴하고 질 좋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질이 좋다고 했는데, 사실 더 질 좋고 좋은 제품을 수입을 통해(인도, 중국) 받을 수 있음에도 영국정부는 자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통해 일반소비자들은 그 제품을 구매할 수밖에 없었다. 즉, 소비자들은 다른 선택이 없었기 때문에 영국제품을 살 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
*영국은 당시 영국산 면직물보다 품질이 우수한 인도산 면직물의 수입을 금지했으며, 1699년에는 (양모조례를 통해) 식민지들이 다른 나라로 모직물을 수출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아일랜드의 모직물 산업을 파괴하고 미국 내 모직물 산업의 출현을 막았다 <나쁜 사마라아인들 - 장하준>

2. 18세기의 산업/제품혁명이 영국제품의 세계 지배력의 주된 원인인가?
새로운 물질의 발견, 새로운 에너지 소스, 그리고 노동 분화로 대표되는 산업혁명을 통해 영국제품 혁신이 이루어지고 또한 이것이 세계의 무역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원인이라고 한다. 즉, 값싸고 질좋고, 다양한 제품이 시장 지배력의 주된 원인이라고 제시한다(수출품의 대부분이 식민지에서 소비) 영국제품의 세계에 대한 시장지배력에는 제품자체 보다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식민지로부터의 값싼 원료 공급, 그리고 또한 완제품의 소비지로서의 식민지의 역할 등을 감안했을 때 실제로는 영국의 군사력, 정치력이 주된 원인으로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프랑스에서는 왜 산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았는가?
산업혁명, 기술개발이 있다고 하더라도 영국처럼 경제성장과 연관되지는 않다. 식민지, 영국 정부 중상주의, 제국주의 등이 기여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영국의 경우는 자국내 관세는 없었기 때문에 상품의 이동도 컸다. 프랑스의 knowledge 에서는 science 는 앞서 있었으나 테크놀로지는 뒤떨어졌다. 또한 양극화가 심해서 생산 물품에 대한 수요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댓글 1개:

  1. Hi there, awesome site. I thought the topics you posted on were very interesting.
    I tried to add your RSS to my feed reader and it a few. take a look at it, hopefully I can add you and follow.


    실크 양탄자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