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분석이란?
- 문장 간의 관계를 연구, 글의 결합력과 통일성을 보는 연구
- 언어형식과 기능간의 관계를 통하여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과 언어를 분석
- 담화분석의 단위는 한문장 이상, 따라서 문맥에 따라 분석이 가능(과거 formal approach에서는 만약 현재진행형이라면 -ing 가 분석의 단위이자 학습이 단위였으나 discourse functional approach에서 분석의 단위는 한 문장 이상이므로 진행형의 문장이라도 다른 문장간의 관계에 따른 상황으로 주어지는 진행형의 상황에 따른 기능이 바로 언어 분석의 단위)
- 대표적 담화분석으로는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가 있음.
- 인류학, 사회학, 인지심리학 등에서 사용됨
* speech act theory(Austin's speech act)
- 화자의 발화안에는 화자가 갖고 있는 숨은 의도가 있어 실제 언어의 행위적 결과를 가져옴
* Halliday의 7가지 언어 기능
* 그라이스의 격률
- 양의 격률 : 요구되는 만큼의 정보성 있는 기여를 하되, 요구되는 이상/이하를 하지 않기
- 질의 격률 : 당신이 거짓이라고 믿는것과 이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한 것을 말하지 않기
- 상관성의 격률 : 관련된 내용을 말하기
- 방법의 격률 : 분명하고, 간략, 그리고 조리있게 말하기
* 대화 분석(Conversation Analysis)
① Attention Getting : 학습자는 언어적/비언어적으로 청자의 주의를 끌어야함
② Topic Nomination : 언어적으로 “gambit"가르치기(excuse me, sir 등), 비언어적인 요소로 제스쳐, 눈맞추기, 청자간 거리조절 가르치기
③ Topic Development
- turn-taking: 발화 순번을 교대하면서 대화 전개
- clarification: 청자는 error가 있는 언어적 형태에 대한 repair요청, 발화자는 그것을 고치는 과정
- shifting/avoidance: 화제 전환과 회피하기
- interruption: 대화 끼어들기
④ Topic Termination : 시계보기, 공손하게 미소짓기 등
댓글 없음:
댓글 쓰기